• 2019. 5. 28.

    by. Conpresent

    국제개발협력(ODA)의 이해 _ 강사 장현식 (강원대 초빙교수, 전 코이카 전략기획이사)


    목차

    I. 빈곤의 개념 및 개도국의 빈곤 원인
    II. 국제개발협력의 개념, 목적 및 지원 형태
    III.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및 최근 이슈
    IV. MDGs와 SDGs
    V. SDGs 달성을 위한 KOICA의 추진전략
    VI. 국제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


    I. 빈곤의 개념 및 개도국의 빈곤 원인

    지구촌 빈곤
    ˙ 세계 인구의 1/5에 해당하는 약 14억 명의 사람이 하루 1.25 달러 미만의 소득으로 살아가고 있음
    ˙ 6초마다 한 명꼴로 기아에 의해 어린이가 사망하고 있음
    ˙ 북미 및 유럽 인구와 맞먹는 10억의 인구가 영양부족 상태에 있으며 특히 서아프리카 및 서남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음


    빈곤의 유형
    ◆ 절대적 빈곤(Extreme or Absolute Poverty)
    -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욕구조차 결핍
    - 1일 1.9달러 미만 소득으로 생활 (Global Monitoring Report, WB, 2016)
    - 2012년 기준, 전 세계 인구의 약 12.8% (약 9억 명), 2015년 예상, 약 7억 명
    - 2005년 PPP 기준, 1.25달러 미만
    ◆ 차상위 빈곤(Moderate Poverty)
    - 기본적인 욕구를 가까스로 충족
    - 2005년 PPP 기준 1.25달러 이상 4달러 미만
    ◆ 상대적 빈곤(Relative Poverty)
    - 공동체의 기준에 의해 판단되는 최소한의 수용 가능한 생활수준을 영위하지 못하는 상태
    - 객관적 지표로 측정 불가능하며, 주관적임

    >>> 중국과 인도의 경제발전으로 빈곤의 비율이 줄어듬, 하지만 아프리카는 오히려 늘어났다 (ODA의 역설!)


    빈곤 :아래 5가지 능력이 결여된 상태

    ■ 경제적 능력 (Economic Capabilities) 
    - 소득을 벌고, 필요한 소비를 할 수 있고, 자산을 소유하는 능력 -> 식량안보, 물질적 복지, 사회적 신분에 핵심
    ■ 인간적 능력 (Human Capabilities)
    - 보건의료 서비스, 영양, 안전한 식수, 교육, 위생적인 환경 보장 -> 복지의 핵심 요소이자 생계를 개선하는 중요 수단
    ■ 정치적 능력 (Politic Capabilities)
    - 개인의 인권이 인정되는 가운데 정치, 정책과정에 참가하고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건이 보장됨
    ■ 보호능력 (Protective Capabilities)
    - 식품 부족, 질병, 재해, 범죄, 전쟁, 분쟁 등에 의한 취약성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여건이 보장됨
    ■ 사회적 능력 (Soci-cultural Capabilities)
    - 인간으로서 존엄을 유지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지위가 인정되는 여건이 보장됨


    개발도상국 빈곤의 원인

    ˙ 식민주의, 냉전, 안보, 국익, 세계화와 원조 관계
    ˙ 관료주의와 원조 종속 문제
    ˙ 정부 간 원조의 한계
    ˙ 개도국의 거버넌스와 부패 문제 등


    II. 국제개발협력의 개념과 필요성

    개발에 대한 최근 견해
    - 개발은 인간의 자유 증진에 장애가 되는 요소(빈곤, 독재, 경제적, 사회적 기회의 박탈, 공공시설의 부족 등)를 제거해 나가는 과정 _ 아마르티아 센

    ※새로운 개발의 측정 기준: 인간개발지수 (Human Development Index) 
    "HDI = 예상수명 X 교육 성취도 X 소득"

    개발 격차

    삶의 질을 결정하는 다양한 정치, 경제, 사회적 지표에서 나타나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차이 
    예) 소득, 인프라, 경제성장률, 직업 기회, 교육, 보건위생, 생활환경 등


    공적개발원조(ODA)의 정의

    1969년 OECD DAC이 공공자금 (Official Flows)의 흐름을 ODAOOF 등으로 구분하면서 ODA 개념을 최초로 정립

    ■ 주체: 원조 공여국의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
    ■ 목적: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및 복지증진 (군사적 목적 X)
    ■ 대상: OECD DAC 지정 적격 개발도상국 및 국제기구
    ■ 조건: 양허성 차관의 경우, 소득 그룹별 *최소 증여율 이상
    **① LDCs/LICs: 45% (9% 할인율 적용)
    ② LMICs: 15% (7% 할인율 적용)
    ③ UMICs: 10% (6% 할인율 적용)

    ◆ 원조 형태별 증여율
    - 무상원조(Grants): 100%
    - 양허성 차관(Concessional Loans) : 위의 내용대로
    - 상업자금(Funds for commercial purposes): 기존 "10%의 할인율 적용 후 25% 미만"이었으나 변경됐는지 확인 필요

    ※ODA 측정 방식은 증여 등가액 방식(총지출액 x 증여율)으로 한다.
    * 단, DSF 적용 대상국의 경우, DSF에서 규정한 최소 증여율(5% 할인) 이상
    ** LICs: Low Income Countries, 저소득국
    LMICs: Lower Middle Income Countries, 하위 중소득국
    UMICs: Upper Middle Income Countries, 상위 중소득국


    개발재원의 유형 (1)

    개발재원: 개발도상국의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금

    양허성
    (Concessional)

    공적개발원조 
    (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, ODA)
    ① 정부 대 전부
    ② 사회발전에 도움
    ③ 소득그룹별 최소 증여율 이상
    양자 (Bilateral) : 직접 도와주는 것

    다자 (Multilateral) :
    국제기구를 통해 제공

    민간증여 (Net Grants by NGOs)
    비양허성
    (Non-concessional)
    기타 공적자금 (Other Official Flows, OOF)
    민간자금 (Private Flows at Market Terms)

     

    개발재원의 유형 (2)

    구분 지원방법 지원형태 내용
    공적개발원조 양자간 무상 증여, 기술협력, 프로젝트원조, 식량원조, 긴급재난구호, NGOs 지원 등
    양자간 유상 양허성 공공차관
    다자간 - 국제기구 분담금 및 출자금
    기타공적자금 양자간 유상 공적수출신용, 투자금융 등
    다자간 유상 국제기관 융자
    민간자금 - 유상 해외직접투자, 1년 이상의 수출 신용, 국제기관 융자, 증권투자 등
    민간증여 - 무상 NGOs에 의한 증여

    ODA 지원 목적

    인도주의적 동기(이상주의) 
       - 개발도상국의 절대빈곤 해소, 민주주의, 인권 등과 같은 인간의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도덕적 의무
    국가안보, 외교적 동기(현실주의)
       - 마셜플랜, 미국의 대 한국 원조, 구 식민지에 대한 종주국으로서의 영향력 유지
       - 수원국으로부터의 국제적 지지 기대(UN 표 획득, 국제기구 선거, 국제행사 유치 등)
       - 국제사회에서의 리더십과 영향력 제고(G-7 국가, 중국의 원조 등)
    경제적 동기(현실주의)
       - 원조를 통해 공여국의 제품 수출 및 기업 진출, 자원 확보 등 자국의 경제 이익 확보(Tied Aid 등의 수단 활용)
    모든 사람들 간의 연대(상호 이익론)
       - 세계적 과제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가치의 확장
       - 환경보호, 인구 통제, 핵확산 방지, 마약 및 질병 통제


    ODA 지원 형태

    형태 정의 예시
    프로젝트

    - 특정 개발목표를 정해진 기간 내에 달성하기 위한 투자, 정책적 수단, 조직적 혹은 여타 여러 활동이 결합된 하나의 패키지(WB)
    - 명확히 제시된 개발목표를 정해진 기간과 정해진 예산 내에서 달성하기 위해 실시되는 활동의 연속(EC)

    - MDGs 중 하나인 '초등교육 보편화' 달성을 위한 교육 인프로(학교 등) 건설 지원 및 교사 양성 프로그램 지원(봉사단 파견, 연수 등)
    프로그램 - 수원국 자체의 개발계획(국가개발전략, 분야별 개발계획 등)의 수행을 공여국이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원
    - 정책과 일치되어야 함 그래야 프로젝트가 나오게 된다.
    - 교육 분야, 보건 분야 등에 대한 예산 지원 등
      -> 분야별 개발 프로그램

    프로젝트가 나무라면, 프로그램은 숲이다.


    형태 정의 비고
    기술협력
    (Technical Cooperation)
    기술수준, 지식, 기술적 노하우 및 생산능력 향상기법의 전수를 통한 인적자원 개발을 위해 기호기된 자원활동(목표) 역량강화 (인적, 제도적 개발)
    * 최근 공여국 인력이 아닌 수원국 인력이 주도하는 기술협력 지향
    - 교육훈련, 전문가(봉사단) 파견, 정책 및 기술자문, 조사 및 연구 준비 위한 지원 등
    예산지원
    (Budget Support)
    수원국 정부의 개발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수원국의 금융관리 및 조달시스템을 활용하여 개발을 위한 자금 투입(프로그램 원조의 한 형태) - 일반예산지원
    - 분야별/지정된 예산지원
    - Basket Fund
    부채경감
    (Debt Relief)
    채권자의 동의하에 채무국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포기하는 것(탕감시 공여국의 무상원조로 책정) - 부채탕감, 부채 재조정, 재융자 또는 부채 재구성 등
    식량지원
    (Food Aid)
    기근, 전쟁, 생산력 부족 등으로 수원국 내 식량고급이 부족할 경우 공여국들이 자국 식량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거나 수원국 정부에 현금을 지원하여 인근지역 등에서 식량을 조달하게끔 하는 지원 - 긴급식량지원
    - 개발식량지원
    긴급지원/
    인도적지원
    자연재해, 전쟁과 같은 재난 상황, 질병 등으로 인한 농작물의 실패에 따른 식량부족사태 등을 지원 - 국제기구 통한 지원 다수
      (UNOCHA)
    NGO를 통한 지원 간접적 원조로, NGO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NGO와 자국 NGO간 파트너십 형성 지원 - 최근 PPP(민관협력)로 확대
    소액금융
    (Micro-finance)
    빈곤층에게 금융 서비스 및 소액 대출의 기회 제공 - 그라민 은행

    III. 국제개발협력의 역사

    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의 변화

    1940 - 1950 년대: 국제개발협력의 태동

    전후 복구 및 세계경제 재건

   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국제개발협력 태동
    - 전쟁으로 인해 경제구조가 파괴된 국가들에 대한 긴급원조로 국제개발협력 시작

    연합국 구제 부흥 기관 UNRRA 설립 (1943)
    - 원조자금이 빈국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국제노동기구(ILO)의 주도 아래 44개국이 모임
    -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, 남유럽, 독일 등의 국가에 원조 제공
    - 1949년까지 50개 이상 개발도상국에 식량, 의약품, 농업 및 산업 제품을 전달하여 본격적인 구호활동 실시

    1960년대: 국제개발협력의 도약

    제1차 UN 개발 10년 계획 선언
    UN은 1960년대를 "제1차 UN 개발 10년"으로 규정(1961)

    목표

    ■ 개발도상국 연간 성장률 5% 향상
    ■ 선진국 국민총생산 (GNP)의 1%를 개발도상국 원조에 사용하도록 권고

    ※ UN은 이중 격차 모델에 근거하여 개발도상국이 일정한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 경제부국은 GNP의 일정 비율을 원조로 제공해야 한다는 노리를 펴옴

    결과

    ■ GNP 대비 1% 원조 제공 실패 및 개발도상국 경제상황 개선 미약
    - 아르헨티나, 칠레, 가나 등의 국가는 누적된 재정적자 문제와 함께 심각한 외환위기 경험

    ->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경제격차 더욱 확대

    피어슨 보고서 발표

    ■ 세계은행 "개발을 위한 파트너, Partners in Development" 보고서 발표 (1969)
        - 자립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원조가 필요함을 강조
        - ODA 개념 정리 및 원조 효과 연구
        - 선진 공여국 GNP 대비 0.7% 원조 제공 및 차관의 공여 조건 등에 관한 목표 권고

    1970년대: 국제개발협력의 정체

    제2차 UN 개발 10년 계획 선언
    UN은 1970년대를 "제2차 UN 개발 10년"으로 규정(1970)

    목표 ■ 개발도상국 연간 경제성장률 6% 향상 및 1인당 소득 3.5% 증가
    ■ 선진국 GNP의 0.7% ODA 공여 촉구
        - 피어슨 보고서 권고 채택
    스웨덴, 덴마크, 노르웨이, 네덜란드 GNP/ODA 0.7% 목표 달성
    결과

    ■ *세계경제 침체 및 이에 따른 개발도상국의 빈곤 상황 더욱 악화

    *유가 폭등

    인간 기본 욕구 (Basic Human Needs, BHNs) 대두

    배경 
    - 기본의 성장 중심, 인프라 중심, 정부 중심 개발이 실패했다는 인식 만연 
    Trickle Down Effect에 대한 불신 팽배
    - 전반적인 경제력 부양보다 지역 거주민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개발의 전략이 되어야 한다는 질적 접근 방식 대두

    ■ 경제적 측면에서의 양적 확대 및 성장에 초점을 맞추었던 개도국에 대한 '원조'가 '빈곤감소'와 연결
    - 빈곤선(Poverty line)에 대한 인식 형성

    인간의 기본적 욕구에 초점을 맞춘 사회개발 및 인간개발로 원조 방향 전환
    - 의식주, 교육, 위생 등 기초 생활수준 향상에 중점

    ■ 국제사회는 거시지표 개선 및 질적 개발전략에 대한 본격적 논의 시작
    - OECD DAC: 빈곤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원조정책과 전략 수립
    (예) "경제성장을 위한 개발협력과 인간 기본 욕구 충족 선언" 채택(1977)

    농촌개발 및 NGOs 활동 두각

    ■ 개발도상국 농촌지역의 가뭄에 따른 식량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소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지역경제를 부흥시키고자 농촌개발 프로젝트 실행
    - 공적 원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NGOs와의 협력 증가
    선진 공여국 NGOs에 원조자금 직접 지원 시작

    ■ NGOs의 다양한 개발사업 추진
    - 정규 교육기관 외의 기술훈련과 농촌개발 등에서 두각
    현재까지도 개발 NGOs의 활동은 인간 기본 욕구(BHNs)에 초점

    1980 - 1990년대: 국제개발협력의 위기

    제3차 UN 개발 10년 계획 선언
    UN은 1980년대를 "제3차 UN개발 10년"으로 선언

    배경 ■ 브란트 보고서(1981)를 기초로 남북문제 중요성 새롭게 인식
    - 국가간 상호 종속 (Global Interdependence)
    - 1985년까지 ODA규모 2배 확대
    ■ 남북정상회담 개최(멕시코 칸쿤, 1981): 8개 선진국+14개 개발도상국
    목표 ■ 개발도상국 연간 경제성장률 7% 향상 및 GDP 성장률 4.5% 증가
    ■ 선진국 GNP의 0.7% ODA 제공 촉구
    결과 ■ 지속적인 경기침체로 물가 급격히 상승 -> 국제수지 위축 -> 주요 선진국 원조예산 삭감 -> 국제개발협력 위축

     

    구조조정 프로그램 도입 (Structural Adjustment Program, SAP)

    배경
    • 개발도상국 채무누적 현상 가속화
      - 세계은행과 IMF는 개발도상국의 발전 저해 요인으로 정부 개입정책 지적
    정책변화
    • 세계은행과 IMF 주도의 구조조정 프로그램 도입
      - 세계은행 구조조정차관(1980), IMF 구조조정신용(1986): 국제수지 개선목적
      - 누적 채무가 있는 개발도상국 정부 구조조정정책 추진 -> 구조조정차관을 제공 받은 개발도상국 경제정책의 표준화 시도
      강제조건: 정부역할 축소, 정부예산 삭감, 민영화, 금융과 무역의 자유화 등

     

    워싱턴 컨센서스 Washington Consensus
    워싱턴 D.C. 기반의 국제금융기구, 미 재무부, 독립적 싱크탱크, 투자금융기관 등이 주창한 신자유주의적 담론
    * 1989년 미국 국제경제연구소 존 윌리엄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

    특징
    • 미국 자본주의식 국가발전 경제체제의 대내외적 확산
      - 시장 자유화, 무역과 금융 및 투자 자유화
    • 개발도상국이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'좋은 정책(Good Policies)'과 '좋은 제도(Good Institutions)'를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
      - 좋은 정책: 안정적 거시경제정책, 자유무역 및 투자 레짐, 민영화, 국가소유 자산의 탈규제 등
      - 좋은 제도: 민주주의 정부, 지적재산권을 포함한 소유권 보호, 독립된 중앙은행, 투명한 기업 거버넌스 등
    비판
    • 선진국들은 발전과정에서 신자유주의와 반대되는 정책 및 제도를 펵ㄹ침
      - 높은 관세 부과, 국내산업 보호정책, 분야별 집중적인 산업정책 추진 등
      - 민주주의 개혁: 경제적 발전과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던 과제

    -> 모든 시스템을 개발하고 정비하라는 요구는 개도국의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으려는 목적에서 '사다리를 걷어차 버리는 것' (사다리 걷어차기, 장하준)

     

    IV. MDGs와 SDGs

    새천년 개발목표 (Millennium Development Goals, MDGs)

    배경
    ■ 새천년 정상회의 Millennium Summit
    - 2000년 9월 개최된 UN 새천년 정상회의 시 189개국 정상들이 만장일치로 새천년 정상선언 Millennium Declaration 채택
    - 새천년 정상선언을 기반으로 2001년 2015년까지 달성할 8개 주요 목표, 18개 상세 목표 및 48개 달성지표 설정한 새천년 개발목표 MDGs 채택

    ■ 시대적 배경
    - 1990년 소련 붕괴에 따른 냉전 종식 및 UN 주도 개발 논의 부활
    - 아프리카 빈곤문제에 대한 국제사회 공동대응 필요성 제기
    - 빈곤 해소에 대한 낙관론 우세: 아시아 금융위기 극복, 브라질과 인도 등 신흥 경제국 부상

    **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중, 장기 ODA 계획을 세움

    MDGs의 8개 주요 목표

    8 Goals of MDGs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. 절대빈곤 및 기아퇴치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2. 보편적 초등교육 달성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3. 양성 평등 및 여성 능력 고양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4. 아동 사망률 감소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5. 모성보건 증진                 6. HIV/AIDS, 말라리아 및 기타 각종 질병 퇴치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7. 지속 가능한 환경 확보                8. 개발을 위한 범지구적 파트너십 구축

    MDGs의 의의

    ■ 국제사회 개발 논의의 종합 결과물
    - UN 역사상 가장 많은 회원국 정상들이 만장일치로 합의
    - 공여국들의 ODA 규모 확대 및 원조 관련 조직, 관리체계 변경에 영향 줌
    ■ 개발도상국의 주인의식과 선진국 간 파트너십 강조
    ■ 종합적, 체계적인 개발 계획의 입안과 시행 추구
    ■ 점검 가능한 목표 제시 체계
    ■ 개발 관련 논의의 '통일적 틀'을 제시
    - 도하 라운드 (2001), 몬테레이 개발재원 회의(2002), 로마선언(2003), 파리선언(2005) 등

    MDGs 성과 및 개선점

    ■ 의의
    -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한 지지를 받은 빈곤퇴치 구호(반기문 장관)

    ■ 주요 성과 (UN MDGs report, 2013)
    - 절대빈곤 인구수 감소(MDGs 글로벌 목표 달성)
    - 기아인구수 감소(2015년까지 MDGs 달성 예상)
    - 말라리아, 결핵 등 전염병 발병률 감소
    - 초등학교 미취학률 개선 102 mil(2000) -> 57 mil(2012)
    - 아동 사망률 감소 87명/1000명(2000) -> 41명/1000명(2012)

    ■ 문제점
    - 사회개발 및 빈곤퇴치에 치중해 경제 성장의 중요성을 다소 간과
    예) 빈곤인구수는 감소했으나 취업률의 개선은 거의 없음
    - 지역 간 불균형: 동아시아의 MDGs 개선율은 높으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개선율이 낮음
    - 자연환경 약화: 사막화, 생물다양성 감소 등
    - 국내 불평등 심화

    지속가능 개발목표 (Sustainable Development Goals, SDGs) 

    ■ 사회개발, 경제개발, 환경지속성, 평화와 안보를 아우름
    - 기아문제를 빈곤문제와 별도로 다루어 식량안보와 연계, 불평등 완화 과제 등 최근 국제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과제를 모두 포함하고자 함

    ■ 기후변화, 청년 일자리 창출, 국가 내 빈곤층 해소, 도시화에 따른 과제 등 선진국에게도 해당하는 목표 제시

    ■ 서문 5P : People (SDG 1-5,10), Planet (SDG 6, 11-15), Prosperity (SDG 7-9), Peace (SDG 16), Partnership (SDG 16)

    ■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도록 유도
    - 정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와 민간 기업, 자선재단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글로벌 과제

    17 Goals of SDGs

    Rio + 20

    SDGs의 설정 합의
    ■ MDGs (개도국 대상) vs SDGs (모든 국가에 보편적으로 적용)
    ■ Post-2015 개발의제와 병행하여(parallel) 추진할 계획(결과 문서 246항)
    ■ 각 지역을 대표하는 30개 국가를 회원국으로 임명하여 SDGs 개발을 위한 작업반 (Open Working Group) 구성 
    -> 제68차 UN 총회 프로포절 제출 예정 (2013.9.)
    ■ SDGs의 범위는 Rio + 20 결과 문서의 26개 분야를 기본으로 할 것으로 예상됨
    ■ 지표: 국내 총생산 (Gross Domestic Product, GDP) 개념을 대체하는 지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 언급 (결과 문서 2장 38항)
    - 예) 인간개발지수(UNDP), 국민 총 행복지수(부탄)

    Post-2015 UN Development Framework

    Post-2015 UN Task Team & Country Team
    ■ UN Task Team(UN DESA/UNDP, 2011년 말 구성)
    - Realizing the future we want for all 보고서 작성(2012.7.)
    ■ UN Country Team
    - 주제별 협의 (Global Thematic Consultation)와 국별 협의 (National Consultation, 50개국) 등을 통하여 Post-2015 관련 광범위한 공감대 형성 및 의견교환 촉진

    고위급 패널(High Level Panel, HLP)
    ■ Post-2015 개발의제에 관한 UN 사무총장 특별 고위급 패널 임명 (2012.7.)
    ■ 총 27명으로 구성(정부, 비정부 인사 균형, 지역 및 성별 균형 고려)
    - 모든 패널리스트는 개인 자격으로 활동
    - Amina J. Mohammed 유엔 사무총장 특별보좌관 참여
    - 우리나라는 김성환 전 외교부 장관이 임명됨

    MDGs & SDGs

    목표의 이름 새천년개발목표 MDGs(2002-2015) 지속가능발전목표 (SDGs(2016-2030)
    범위 사회발전 중심 지속가능한 발전(경제, 사회, 환경 포함)
    달성주제 극심한 빈곤 중심 모든 형태 빈곤과 불평등 감소
    달성대상 국가 개발도상국이 달성해야 하는 문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공통의 문제
    재원마련 개발재원: 공적개발원조(ODA)중심
    (공여국 -> 수원국)
    국내공공재원(세금, ODA, 민간재원(무역, 투자) 등 다양
    감시와 모니터링 자발적으로 이행을 유엔에 보고 유엔이 주도하여 각 국가의 보고를 권고함

    V. SDGs 달성을 위한 KOICA의 추진전략

    코이카의 사업 추진 방향


    VI. 국제개발협력의 성과와 과제

    개발원조에 대한 다양한 시각

    • 원조 옹호론 (Jeffrey Sachs, "The End of Poverty, 2005")
      - Big Push 이론: 원조 규모의 증대로 빈곤 종말이 가능함을 강조
      - 경제 성장에 있어 정부와 해외원조의 중요성 역설
    • 원조방식 비판론 (William Easterly "White Man's Burden, 2006")
      - Big Push Model 비판: Top-down 원조 방식 비판
      - 막대한 양의 원조에도 불구 개도국 경제 후퇴 및 빈곤 심화
      국제기구 및 원조기구는 시장원리, 수원국(협력국) 협장을 등한시하는 유토피안적 사고로 부패 정부 유지
      관습 존중, 수요자 중심의 원조 강조
    • 원조 무용론 (Dambisa Moyo "Dead Aid, 2009")
      - "The Aid is the silent killer of growth for Africa."
      - 원조로 인해 수원국 국민들의 자립의지 저하
      - 원조로 인해 수원국 토착 경제 파괴, 부정부패 심화
      - 원조 대신 "무역"과 "투자"를 통한 성장 강조

    국제개발협력 60년의 성과

    ■ 절대 빈곤층의 비율 절반으로 감소 (1990년 47% -> 2010년 22%)
    ■ 개발도상국 국민의 평균 수명 20년 이상 연장 (41세 -> 62세)
    ■ 안전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인구비율 증가 (1990년 76% -> 2010년 89%)
    ■ 성인 문맹률이 절반에서 약 1/3로 감소
    ■ 식량 생산과 소비 신장률이 인구 증가율보다 약 20% 증가

    -> 상기의 성과가 모두 개발협력의 성과라고만 할 수는 없음

    국제개발협력의 과제

    더 많은 원조
    (More Aid)
    • ODA 규모 지속 확대
      - 개발도상국이 당면하고 있는 개발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ODA 규모 확대 필요
      -> 국제사회는 OECD DAC 회원국에 ODA/GNI 비율 0.7% 달성 촉구
    • 개발재원의 다양화
      - 개발협력에 필요한 다양한 개발재원 확충을 위해 혁신적 개발재원 확보 방안 마련 필요
      예) 항공권 연대기금, 국제개발채권, 탄소세, 외환거래세, 국제복권 등
    더 나은 원조
    (Better Aid)
    • 다양한 개발협력 주체 간 원조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
    • 협력국 국민을 위한 원조 및 원조 외 활동 성과의 최대화
      원조 / 개발 효과성 제고 논의 진행 중
   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 구축
    • 공여주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화되면서 심화된 원조의 분절화 (Aid gragmentation) 문제해결
      - 다양한 주체 및 이해관계자의 노력과 역할을 보다 전략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정하여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원조 체계 구축
      UN은 "Delivering as one"을 모토로 One UN Program 도입 (2006. 1.)
    • 포괄적 파트너십을 통한 원조의 일관성 제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