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왜, 교육학을 공부하는가? " 문제의식 공유
1. 인종차별, 평등, 정의와 연계된 세계시민연구
2. 국제개발협력
3. 유엔 의제와 지역주의 분석
4. 탈식민주의 철학 비평
5. 세계 60여 국 연구, 컨설팅 및 비교연구
왜, 지금 교육인가?
'세계'는 그리고 '개인' 주체는 어떠한 변화를 모색하고 꿈꾸는가?
교육'분야'의 개발협력? (SECTOR)
교육을 '통한' 개발협력? (THROUGH)
'교육적인' 교육개발협력? (NORMATIVE)"어떤 교육을 선택하느냐가 곧 어떤 사회에서 살아갈지를 결정한다" - UNESCO 'Delors Report' (1996)
세계적인 교육? 비정상적인 학습곡선
TREND
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학습량
*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생활시간조사: 한국 학생의 일평균 학습시간은 고등학생(8시간 28분), 중학생(7시간 16분), 초등학생(5시간 34분), 대학생(4시간 10분)
-> 나이가 들수록 학습시간이 줄어드는 현상
-> 학습에 대한 고착화된 사고(앉아서 암기하고 머릿속에 투입하는 것이 학습인가?)FACT
OECD 각종 학업성취도 지표에서 최상위권을 달리는 한국(수학, 과학)
국제 수학올림피아드(IMO) 2017년 세계 종합 1위REALITY
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성인(시민) 학습 역량
* OECD가 24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16세 이상 65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2013년 실시한 성인 역량 평가(PIACC) : 문해력 기준, 한국의 25-34세 집단부터는 OECD 평균을 하회하기 시작해 55세 이상 성인은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짐 (한국 성인 6천700여 명 참여)
-> 한국 대졸자의 역량은 OECD 평균에 비해 낮고, 20대 초반에 정점에 이른 후 나이가 들수록 급격히 감수
-> OECD 평균보다 문제해결력, 직장 내 학습, 협동 활동은 낮음. 특히 협동과 직장 내 학습은 PIAAC 참여국 중 최하위권
-> 함의 해석: 상명하복식 한국의 조직문화,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스킬과 학력의 미스매치, 협동보다는 경쟁, 주장과 소통보다는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는 무난함을 요구하는 무채색 개인주의 양상, 공동체보다는 개인의 서바이벌
교육분야의 특수성 이해: 원리, 규범, 철학
* 교육이란: 인간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는 지속적이고, 계획적인 일체 과정
- 피터스 (R. S. Peters): '지식의 형식(The Nature of Knowledge)'에서 교육은 모종의 가치 있는 것이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전달되고 있거나 전달된 상태를 의미
- 규범적 준거: 내재적 가치 실현과 마음 계발 (세뇌, 조건화는 교육이 아님)
- 인지적 준거: 지적, 이해, 인지적 안목
- 과정적 준거: '바람직한 방식으로' 가르치며 학습자의 관심, 동기, 흥미- 정범모: 교육을 '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'라고 정의, 교육을 과학적인 관찰자 관점에서 조작적, 기술적으로 정의
- '인간 행동'으로 범위를 정해 '변화'를 지향하는 '계획'세우는 것이 교육
- "변화": 다른 학문과 교육학을 구별하는 핵심 준거. 여타 사회과학은 대상을 '설명'하는데 중점을 두지만 교육학은 문제의식이 '변화'에서 출발
교육과 국제개발협력: 개념적 이해
세계를 인식하는 제 관점과 개발 담론
- 이상주의
- 현실주의
- 자유주의
- 구조주의
-> 누가, 누구를 위한, 무엇을 위한 국제개발인가?
-> 담론과 행위 주체에 성찰적, 비판적 인식 필요교육과 국제개발협력의 조우
- 교육 내재적 발전: 교육 그 자체의 목적성과 의미
- 교육 외재적 발전: 교육을 둘러싼 구조 고려, 국가사회발전의 도구, 방법 기재로서 교육담론 (발전 교육론, 인간 자본론 등)
- 개별 주체 및 지역 공동체 역량강화와 임파워먼트(empowerment)
- 국민국가 중심주의 VS 전 지구 주의
"교육" 개발협력의 특수성은 무엇인가?
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
원조와 제공이 아니라, 지역 주민의 '변화'
교육 ODA의 가치와 글로벌 현황: 해석하고 적용하기
교육 ODA 가치와 교육의 지렛대
* 왜 난민에게 교육권을 줘야 할까?
-> 이러한 문제 인식 때문에 단순히 의식주 해결에 그친 것이 많았다. 그러나 교육은 공급이 아니라 세워가는 것이다.
NOT PROVISION,
BUT
"CAPACITY BUILDING" WITH MIND-CHANGE
: 이것이 교육과 무슨 연관이 있나
교육은 민주주의, 사회 발전의 함수다.
교육 ODA 섹터의 다양성과 다변성
전체 양자 ODA 섹터 가운데 교육의 위치
한국의 교육 ODA 섹터의 세부 영역
Post-secondary education이 가장 많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가시적인 효과가 나오기 때문
교육 ODA의 융복합성+간 학문적 특성 이해 필요 (Border crossing)
: 교육이 설계, 기획, 운용되고 구조에 대한 거시적 이해
: 교육 실제를 이끌고 참여하는 주체에 대한 미시적 이해 _ 학생, 교사, 학부모의 여건에 대한 이해
: 교육 ODA에 대한 양적, 질적 모니터링(평가) 필요
교육을 폭넓게 인식하는 지평의 확대
: 인지교육, 지식 습득을 넘어,
사태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소통하며, 나아가 변화를 이끄는 인간 경험의 재구성
우리의 경험은 어디에 위치 지어져 있는가?
Reflection on Action (Donald Schon)
경험보다 더 중요한 것, 그것은 바로 교육적 성찰
-> ODA와 교육의 상호 관계 성찰
탁월함의 비결은 피드백이다!
글로벌 시각에 대한 이해
: SDG 시대의 교육 ODA
SDG Goal 04.
Ensure inclusive an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and promote life-lo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all
SDGs EDUCATION
이정표로서 2015 세계 교육포럼(WEF)
2015 세계 교육포럼 (WEF) 의의
- 1990년 좀티온(태국), 2000년 다카르(세네갈) 이후 15년 만에 인천 송도에서 열린 국제회의
- 2015년 5월 19-22일 사흘간 인천 송도에서 열린 본 호의는 한국 정부가 행사 진행을 담당하고, UNESCO, UNDP, UNFPA, UNICEF, UN Women, UNHCR 및 World Bank Group이 공동 주관하였음
- 본 회의에 약 1500여 명의 각 국가의 정부 대표단, 지도자 및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하였고, 총 약 3000여 명이 본 행사 및 부대행사에 참여함
-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의 4번째 목표인 "2030년까지 모두를 위한 평등하고 포괄적인 양질의 교육과 평생학습을 보장"을 포괄적 의제로 삼은 인천 선언문 발표
인천 선언문
2030년까지 모두를 위한 평등하고 포용적인 양직의 교육 보장 및 평생학습 진흥
- 세계교육포럼에서 발표된 인천 선언문은 총 20개 조항으로
- 서문 (1-4조 항)
- 2030년을 향해: 교육을 위한 새로운 비전 (5-11조 항)
- 공동 의제의 실현 (12-20조 항)으로 구성됨
- 향후 15년의 글로벌 교육의제의 큰 방향성을 제시하고, 5가지 핵심 주제를 도출함
포용(Inclusive Education) / 교육받을권리 (Right to Education) / 양질의 교육 (Quality Education) / 형평성 (Equity in Education) / 평생학습 (Life-long Learning)
오슬로 교육개발 정상회의
- 2015년 7월 6-7일 양일간 오슬로(노르웨이)에서 노르웨이 외교부의 주관하에 열린 교육개발 정상회의
- 본 회의는 세계교육포럼 후속 회의로 인천 선언문에서 제시된 교육의제 실현을 위한 도전과제를 검토하고, 다가오는 7월 제3차 개발재원총회 및 9월 유엔 정상회의에서 채택될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 실천을 위한 국제적 논의를 가지는 자리로 마련됨
[오슬로 선언문]
- 본 호의의 결과물로서 지속 가능한 국제사회의 발전을 위해 교육이 핵심이며 인간의 기본권임을 다시 한번 확인함
- 국가 단위 정부의 책무성 강조
- 소외계층의 교육에 대한 접근성 및 이에 대한 교육재원 투자의 필요성 제시
- 모든 이를 위한 양질의 교육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발도상국의 자체적인 세금 조정 시스템 개혁을 통한 국내의 교율 재정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논의가 중심이 됨
-> 국제개발협력에서 국제적 파트너십을 비롯하여 수원국 내부의 주인의식과 책무성을 동시에 강조
오슬로 교육개발 정상회의
<주요 주제 및 논쟁점>
모든 취약계층에 대한 포용성 강조 - 미성년 노동 및 아동 노동 착취 근절에 대한 중요성 강조
- 모든 이를 위한 교육이라는 포괄적 목표 달성을 위해 장애인을 포함한 소외, 취약계층 (난민, 여성)의 교육에 대한 접근성 보장을 강조
학교 중도 탈락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교육 보장 - 글로벌현황보고서 (GMR, 2015)에 따르면, 초등학생 입학율의 놀라운 상승에 비해 여전히 전 세계 5700만 명의 아이들이 중퇴한 상태
분쟁 및 재난 지역의 교육권 보장 - 분쟁 및 재난 지역의 교육 보장을 위한 수백만 달러의 인도주의적 기금 촉구를 강조
- 분쟁 및 자연 재해를 포함한 재난 지역에 대한 재정 원조 제공의 개선 논의
성과 기반의 재정
(results-based financing)- 세계은행은 향후 교육개발 재원 투자를 교육 결과 및 성과와 연동시키겠다고 입장을 표명함
- 하지만, 중장기적 투자가 필요한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방식
새로운 교육재정 협의체 - 고등 브라운 UN 교육특사를 주축으로 한 글로벌 교육재정위원회
(Commission on the Financing of Global Education Opportunities) 필요성 부각 및 출범
글로벌 교육과제 및 쟁점
기초 교육에 대한 지원 삭감
(Aid for basic education)-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기초교육 지원이 확대되었으나 그 이후 계속 정체하고 있으며 최근 줄어들고 있음
교육 접근 기회에서의
성 평등 이슈 (Gender issue)- 6500만명의 소녀들이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음
분쟁지역 교육 및 난민 배경 어린이의 학교 중도 탈락 - 분쟁 및 취약 국가 어린이의 교육 기본권 박탈
- 난민의 45%가 학교교육을 받지 못함
기초 문해 부족 -> 인간
존엄성과 삶의 기회 박탈- 2억 5천명의 학령기 어린이들이 기초 문해 및 수리 문해력 부족
EFA (2000): MDG 시대 SDG 시대 포괄적 목표 - 거시 목표가 제시되지 않음
- 모든 세부 교육목표를 아우르는 포괄적 목표 제시
- 학교교육을 넘어서 평생학습 차원의 접근 최초로 제시
교육의제 - 기초교육 중시
- 기초교육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으로 확장
대상 - 여성과 장애인에 준하는 소외집단
- 취약계층에 대한 모호한 접근
- 구체적 대상 (target) 설정
지표 - Global Monitoring Report 중심
- 취학률, 문해율 등 양적 지표 중심
- 새로운 교육 의제에 대응하는 구체적 지표 (indicator) 개발 중
주체 및 유관기관 - 교육중심 주체들 (agency)
- 다자간 협의체 (국가, 시민사회, 기업 등)
- 양자채널
- 다자간 채널
NGO 역할 - 참여와 기여를 해왔으나 미미했음
- EFA 운영위원회에 실질적 참여
- 부의장 의석 확보를 통한 영향력 행사
개발의제로서 교육 위치 - 기본권, 인권으로서의 교육 의제
- 기본권에 그치지 않고, 다른 개발의제보다 우선적 담론 확보
2018년 현재 국제사회는?
교육의 질 강조
COLLECTIVE BASKET
선진국, 개도국 모두를 위한 교육 쟁점
다양한 이슈 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
학습자 중심주의 접근: 교수법 변혁, 학습자 동기유발, 교사의 질, 상호작용
교육 ODA의 다자간 협력에 소극적인 한국
한국 교육개발협력의 방향성: 교육은 무엇을 변화시키는가?
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
글로벌 교육의제- 교육 개발의 단기 성과가 아니라,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과 인간의 성장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강조 (지속가능성이 핵심 화두)
- 인간 권리로서의 교육권, 인간의 존엄성 (human dignity)을 고양하는 교육의 역할 재확인
- 양질의 교육이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
불평등, 평화의 문제와
직간접적으로 연계된 교육의제- 교육 의제가 단독적인 의제가 아니라, 다른 개발의 이슈와 유기적으로 연계
- 사회, 경제적 체제에서 불평등과 격차에 노출된 소외된 계층엗 ㅐ한 포괄적 교육 지원 필요 (재해지역 및 분쟁, 취약 국가의 난민, 장애인, 여성, 아동노동에 대한 집중 지원)
- 교육은 다른 개발의제보다 우선 순위 (DEFI)
글로벌 교육의제를 주도하는
새로운 주체의 등장- 2015 WEF 거버넌스 수준: 공동주관기구로서 UN 7개 기구의 참여 (UNESCO 중심에서 다자 협의 중시) - 교육이 다른 개발의제들과 밀접하게 연계
- 의제 형성 수준: 글로벌 교육의제 개발 주도 그룹의 다양화 (EFA 운영위원회에서의 시민사회의 위상 강화, 민간기업의 참여)
새로운 포괄적 교육의제의
등장- 기초교육을 넘어서 고등교육을 포함한 평생학습으로 교육의제 영역 확장
- 교육의 접근성 중심에서 양질의 교육괗 바습성과(learning outcome) 강조
- 인지교육뿐만 아니라, 비인지교육으로서 세계시민교육, 지속가능한 발전 교육, 문화 다양성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
- 교육의제의 실천방안으로서 양질의 교원 확보, 교육재정 확보, 교육시설 확충 등이 글로벌 의제로 명시
더 읽을 자료
김진희 외, 한국의 교육개발협력사업 성과평가 모형 개발 연구 (2013)
김진희 외, Post-2015 글로벌 교육의제 동향 분석 (2014)
김진희 외, Post-2015 교육개발협력사업 활성화 전략: 교육의제실천 (2015)
김진희 외, 캄보디아와의 교육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(2016)
유성상 외, 국제교육개발협력 이론과 쟁점 (2017)
김진희, 글로벌시대의 세계시민교육: 이론과 실제 (2017)
김진희, 신민정,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고찰한 코리아에이드(Korea Aid)비판 (2018)'공부 > 국제개발협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이카 해외사무소 ODA 영프로페셔널 선발교육 _ ODA와 젠더 (0) 2019.06.10 코이카 해외사무소 ODA 영프로페셔널 선발교육 _ 프로젝트 방법 및 절차 (0) 2019.06.06 코이카 해외사무소 ODA 영프로페셔널 선발교육 _ ODA와 보건 (0) 2019.06.01 코이카 해외사무소 ODA 영프로페셔널 선발교육 _ 국제개발협력(ODA)의 이해 (2) 2019.05.28 Inaugural WHO Partners Forum launches new push for collaboration on global health (0) 2019.05.08